반응형 투자23 채권 투자, 금리 채권 상관관계 요즘 금리가 급격히 오르면서 채권 투자에 관심을 두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내용을 뉴스와 여러 매체를 통해서 접했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이전 채권 가격은 떨어지게 될 텐데 이 사람들은 왜 채권 투자를 한다는 것인지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금리와 채권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역사상 최대 양적완화의 기간 이후 자산 가격은 폭등했습니다. 이로 인한 부작용으로 이제 세계는 인플레이션의 고통 속에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은 연속적인 금리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 잡기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가는 쉽게 잡히지 않고 있고 경제 침체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연준의 자이언트 스탭 (0.75bp 인상)으로 인해 연말까지의 금리는 최대 4.5% 이상까지.. 2022. 9. 28. 실거주용 내 집 마련은 투자인가? 아닌가? 내 집 마련을 해야 하는 입장에서 계속 고민되는 부분이 있어서 정리해볼 겸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 *투자용 (수익형, 갭 투자 목적 부동산)이 아닌 실거주용 부동산 구매에 관한 생각입니다. 책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로 유명한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는 책을 비롯한 여러 매체에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당신이 살고 있는 집은 자산이 아니라 부채입니다", 이게 당최 무슨 말인가 싶었습니다. (자본+부채 = 자산) 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그렇다면 만약 자신의 투자금과 은행 대출로 구입한 실거주용 집이 어째서 자산이 아니라는 것인지 고민해봤습니다. 투자의 의미 투자의 사전적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투자(投資) : 이익을 얻기 위하여 어떤 일이나 사업에 자본을 대거나 시간이나 정성을 쏟음. 투자는 실질적으로 자산이.. 2022. 8. 21. 헤어조의 주식투자 원칙 코로나가 전 세계에 유행하면서 2020년 3월 주식 시장이 폭락했을 때 주식을 시작했었다. 독일에서 살고 있는 필자는 뭘 어떻게 해야 주식을 살 수 있는지 알지 못했다. 한국에서도 투자를 해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비교 경험조차 없었다. 이후 약 2년 반이라는 시간 동안 이것도 사보고 손해도 보고 팔고 해 본 후 느낀 거지만, 똘똘한 ETF와 주식 초반에 사놓고 얌전히 모아두었던 게 가장 수익률이 높았다. 모든 주식이 20년 3월에 바닥을 찍고 반등을 한 것은 아니다. 어떤 주식은 11월까지 하락하기도 했고, 반대로 4월 이후 전고점을 매달 갱신하면서 미친 듯이 상승하는 성장주 (EX. 테슬라)도 있었다. 돌이켜보면, 이때 많이 조급해졌었는데, "왜 내가 산 주식은 거꾸로 하락하는가? 잘못 판단한 걸까?.. 2022. 8. 6. 이전 1 ··· 3 4 5 6 다음 반응형